-
2024년 한국 고령화 문제 / 2025년 한국 초고령화 사회 진입사회이슈有 2024. 6. 30. 21:57반응형
고령화 : 세계에서 초령화 사회에 가장 빨리 진입할 것으로 보이는 한국. 한국의 고령화 확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의 인구 통계
: 한국의 인구는 2024년에 51,751,065명이며, 그중 65세 이상인 사람들은 9,938,235명입니다. 2022년에는 한국의 총인구 중 65세 이상인 사람들이 17.49%를 차지했습니다. 문제는 2025년에는 이 비율이 20.6%로 증가하여 한국이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까지 약 18년 정도가 걸릴 것 같네요.
2. 한국 고령화의 원인
: 한국의 빠른 고령화는 생명 기대치의 증가와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 때문입니다. 특히 2020년에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여성당 0.84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또한, 독립적으로 가족을 부양하는 높은 비용 때문에 많은 젊은 한국인들이 출산을 미루고 있습니다.
3. 고령화 사회의 도전
: 고령화 사회는 경제 성장 잠재력의 감소, 노동 인구의 감소, 의료와 노령 보장을 포함한 복지 확대에 대한 수요 증가 등 한국이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위협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령화는 사회보장 체계, 노인 주택, 정부 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자료는 아래와 같다.
1. 한국은행 : 인구구조 고령화의 영향과 정책과제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125/view.do?nttId=231874&menuNo=200774
인구구조 고령화의 영향과 정책과제 | 기타간행물(상세) | 간행물 | 뉴스/자료 | 한국은행 홈페이
www.bok.or.kr
2. KDI 고령화 사회, 경제성장 전망과 대응방향
https://www.kdi.re.kr/research/forumView?pub_no=16107
고령화 사회, 경제성장 전망과 대응방향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KDI 정책포럼
■ 우리 경제의 고령화 현상은 주요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경제여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약 30년 후 고령인구부양비는 70%를 상
www.kdi.re.kr
728x90'사회이슈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1인 방송인 전성시대, 하지만 왜? MCN은 적자일까? 샌드박스, 트레져현터, 레페리 (7) 2024.10.13 2024년 한국 청년 실업 "그냥 쉬었다" 구직 포기자 증가 (0) 2024.07.01 2024년 관세청 유해제품 해외 직구금지? 해외직구 규제 강화 (알리바바 테무) / 해외직구 금지규제 보도 자료 (0) 2024.05.19 2024년 대체 공휴일 / 설날 & 어린이날 (0) 2024.01.18 한국 비트코인 ETF 비승인 불허 / ETF란? 비트코인 뉴스 (0) 2024.01.15